본문 바로가기

마음과 몸의 건강을 위하여

눈물흘림증 원인과 치료방법

반응형

시도 때도 눈물이 난다면 눈물흘림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오늘은 눈물흘림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눈물흘림증이란?

    슬프지도 않은데 갑자기 눈물이 나고 감수성이 풍부한 나이도 아닌데 눈물을 자연스럽게 흘린다면 눈물흘림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눈물은 눈물길이라는 정상적 배출경로가 있습니다. 눈물길을 지나 코로 배출되어야 정상이지만 배출되지 못하고 눈에 머물러 있다가 눈꺼풀 밖으로 흐르는 증상이 바로 눈물흘림증입니다. 단순히 눈물이 흐른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지만 심한 경우에는 염증을 동반한 고름이 생기고 방치하는 경우 만성염증까지도 진행되기 때문에 증상이 발견되면 빠른 시일 안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물길이 막혔을 경우는 수술까지 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의 원인

    눈물길이 막혀있는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눈물의 과다 생성을 배제하면 눈물길이 막힙니다. 구성은 눈물점, 눈물소관, 눈물주머니 그리고 코 눈물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눈물샘에서 만들어진 눈물은 결막과 각막을 지나 눈물점에 모이게 되고 관을 통해 소관과 물관을 통해 코 안으로 배출이 됩니다. 이러한 경로에서 한 군데라도 문제가 생기면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선천적인 이유와 후천적인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 선천적으로 눈물길이 좁은 경우가 이러한 경우이고 후천적으로는 만성 염증이나 고령 등으로 인해 눈물길의 폐쇄되거나 협착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질병의 증상

    우리가 흔히 아는 질병처럼 치명적인 건 아니지만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눈 안에 눈물이 가득 차거나 자주 흘러내리기도 합니다. 눈물이 맺히거나 흐르기 때문에 시야에 방해가 되고 자주 닦아줘야 하는 등 많은 불편을 초래합니다. 그리고 눈과 눈 주변의 이상이 생기기도 하는데 피부가 헐고 충혈과 부종이 생기기도 합니다. 염증이 지속된다면 눈곱이 자주 발생되고 눈 쪽으로 고름이 역류하기도 합니다. 만약에 염증이 안구 주변이나 눈꺼풀에 퍼지면 봉화직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검사방법

    눈물길을 통해 눈물이 원활히 흐르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식염수를 필요합니다. 식염수를 통해 눈물소관 관류술을 합니다. 주사기에 식염수를 채워 눈물소관에 삽입을 하고 코나 목 뒤로 식염수가 잘 흐르는지 체크합니다. 만약에 식염수가 역류하면 눈물길이 막혔다고 판단할 수 있고 조금이라도 목으로 내려온다면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니라고 판단합니다. 추가로 막힌 부위를 체크하기 위해 눈물주머니 조영술을 하기도 합니다.


    치료방법

    증상의 심함 여부에 따라 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약한 경우에는 약물을 통해 치료가 가능합니다. 소염제나 항생제를 통한 치료이며 만약에 약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수술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은 눈물길이 좁아진 경우에는 국소마취로 실리콘관 삽입술을 진행합니다. 얇은 실리콘관을 눈물길에 넣어 길을 넓혀주는 수술로 비교적 간단한 수술입니다. 눈물길이 완전히 막힌 경우에는 전신마취로 눈물주머니 코 안 연결 술을 진행합니다. 코와 눈물주머니 사이에 있는 뼈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기존에 눈물길이 아닌 새로운 길로 눈물을 흐르게 만드는 수술입니다.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계속적으로 좋아져서 현재에는 아주 얇은 내시경으로 눈물길을 직접 볼 수 있는 누도미세내시경도 진행하는 병원이 있습니다. 앞서 말한 수술과는 달리 직접 눈물길을 확인하고 치료의 방향을 정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꼽힙니다. 부분마취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