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과 몸의 건강을 위하여

오보에의 유래와 특징

반응형

오보에는 프랑스어로 "높은 음역의 나무" 라는 뜻을 가졌습니다. 높은 음역대이기 때문에 연주하기가 무척 까다롭고 높은 음역대의 곡이 많습니다. 어려운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오케스트라 튜닝악기이면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오보에에 대한 유래와 특징을 아래 글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보에 유래

오보에가 처음 발명된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17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가장 많습니다. 그 전에도 유럽에서 갈대 피리와 같은 겹리드 관악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르네상스 쯤 사용하던 악기인 샴은 오보에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는 악기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오보에는 프랑스에로 높은 음역의 나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oboe라고 표기하지만 독일어로 Hoboe라고 쓰기도 합니다. 초기 오보에는 현재 악기의 구조와 전혀 다르게 키가 2~3개밖에 없는 아주 단순한 악기였습니다. 그래서 반음을 표현하기가 어려웠습니다. 18세기 말쯤 오보에에 많은 키를 붙히면서 발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프랑스에서 시작된 초기 오보에는 이 후 독일식 오보에로 발전이 되었고 이 악기 형태가 유럽에 퍼졌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19세기 프랑스에서 더욱 발전된 오보에가 탄생하면서 상황이 변하였습니다. 새로운 악기는 콘서바토리 스타일로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악기가 바로 이 형태의 악기입니다.

독일식과 프랑스식이 경쟁을 하는데 19세기 말에는 스타일이 거의 동등하게 나눠집니다. 

 

오보에와 비슷한 악기

오보에는 C메이저 악기입니다. 이러한 오보에는 2개의 비슷한 악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A장조 악기는 오보에 다모레가 있고 F장조 악기로 잉글리쉬 호른이 있습니다. 다른 악기들보다 상대적으로 비슷한 악기가 적은 편입니다. 세개의 악기에서 오보에가 가장 높은 음을 담당하고 그다음이 오보에 다모레 마지막으로 잉글리쉬 호른이 가장 저음을 담당합니다. 특히 잉글리쉬 호른 같은경우 드보르작의 신세계 교향곡 2악장이 가장 유명한 멜로디 입니다.

 

오보에 특징

오보에는 보통 검색 몸체와 은색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클라리넷같은 경우도 오보에와 동일한 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클라리넷같은 경우는 홑리드 즉, 리드를 한개만 사용하고 마우스피스를 사용하는 반면에 오보에는 겹리드 즉 리드 두개가 떨리면서 소리를 만듭니다. 또한 클라리넷의 벨 모양은 넓은 반면에 오보에는 좁습니다.

벨 모양뿐만 아니라 내부 모양도 상대적으로 좁습니다.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조금씩 넓어지긴 하지만 그래도 좁습니다. 그래서 오보에를 연주하는 사람은 호흡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연주가 어렵습니다. 또한 클라리넷처럼 마신 호흡을 다 뱉는 것이 아닌 압력때문에 마신 호흡도 남기 때문에 다른 관악기보다 숨을 들이마시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왜냐하면 마신 호흡 중 남은 호흡을 뱉어내고 다시 새로운 호흡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앞서 말한 겹리드는 연주자가 직접 만드는데 리드를 만드는 것도 어렵지만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더욱 더 어렵습니다.

오늘은 오케스트라의 중심 악기인 오보에의 유래와 특징 등을 알아보았습니다.